2017. 08. 27 주일 오후예배
사도행전 19:2-7
'주일오후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앙성장의 비결 (0) | 2017.09.10 |
---|---|
무너진 다윗의 장막 (0) | 2017.08.20 |
성경적인 휴가계획 (0) | 2017.08.13 |
2017. 08. 27 주일 오후예배
사도행전 19:2-7
신앙성장의 비결 (0) | 2017.09.10 |
---|---|
무너진 다윗의 장막 (0) | 2017.08.20 |
성경적인 휴가계획 (0) | 2017.08.13 |
2017. 08. 27 주일 오전예배
신명기 8:1-3
신명기는 40년 광야의 방황을 마치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 모세의 마지막 설교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은 광야에서 태어나고 자란 출애굽 2세들에게는 의문덩어리였던 40년의 방황의 이유를 말씀하십니다. 이를 통해 깨닫는 것은 인생은 '느낌의 영역'이 아니라 '해석의 영역'이라는 것입니다. 각자의 인생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1. 모든 삶에는 하나님의 의도가 있습니다(2절).
40년의 광야 인생을 통해 '광야의 삶'이 아니라 '광야를 걷게 하신 하나님'을 기억하라고 합니다. 즉, 광야의 고달픔만을 기억하지말고 광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기억해야 합니다. 즉, 광야의 고달픔만을 기억하지말고 광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기억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모든 일에 의미를 두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삶의 모양이나 상황보다는 하나님의 의도를 찾고 해석할 수 있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2.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에 과심이 있습니다(3절).
2절과 3절은 서로 댓구형식을 츃고 있습니다. 2절의 "네 마음이 어떠한지.."는 3절의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오.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과 연결됩니다. 즉 광야의 삶으로 인도하신 이유는 우리의 마음을 알아보시기 위함인데, 사람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세상적인 '떡'으로 살려하는지, '하나님의 것'으로 살려는지를 알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우리의 형편이 아니라 우리의 형편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 관심을 두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3. 이 땅의 광야는 종착점이 아닌 경유지입니다(1절).
하나님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광야'의 삶이 얼마나 불편한지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광야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알고자 잠시 체류하게 하는 곳이지 영원히 정착 할 곳은 아닙니다.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자들에게 약속한 땅으로 인도하십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떤 고난과 고통의 순간도 반드시 지나가고 가장 아름다운 삶으로 인도함을 받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분명한 약속이자 우리의 확고한 소망입니다.
고난이 오면 비웃어라 (0) | 2017.09.03 |
---|---|
착시(錯視)와 착각(錯覺) (0) | 2017.08.20 |
베드로의 유언 (0) | 2017.08.13 |
2017. 08. 25 금요예배
잠언 22:6
부모의 3가지 눈물 (0) | 2017.09.01 |
---|---|
부모노릇 잘하기 (0) | 2017.08.18 |
실패한 부모 (0) | 2017.08.11 |
2017. 08. 23 수요예배
로마서 7:24-25
빛으로 어둠에 살기 (0) | 2017.08.30 |
---|---|
빛 가운데 살기 (0) | 2017.08.16 |
세상에 보여 줄 신앙의 모습 (0) | 2017.08.09 |
2017. 08. 20 주일 오후예배
사도행전 15:13-18
2017. 08. 20 주일 오전예배
사사기 6:11-14
성경에 등장하는 많은 믿음의 영웅들은 우리에게 많은 감동과 도전을 줍니다. 그러나 그러한 '영웅'들에게 눈과 마음을 빼앗기다보면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됩니다. 그리고 더 불행한 것은 한번 '착시'와 '착각'이 일어나면 바르게 교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성경 인물들을 통해 성도들에게 들려주는 하나님의 음성은 무엇일까요?
1. 위대한 영웅은 없습니다.
사사기의 대표적인 인물이 기드온입니다. 그러나 그는 두려움이 많고(6:11,27), 말씀에 대한 의심과(6:17,33), 자만하기 쉽고(7:2), 우상을 만든 사람(8:27)입니다. 이런 모습은 기드온 뿐만 아니라 입다(10-11장), 삼손(13-16장) 등 다른 사람들도 비슷합니다. 후에 등장하는 왕들의 면면도 별반 다를바 없습니다. 우리가 흠모할만한 영웅은 없습니다.
2. 영웅은 오직 하나님입니다.
이처럼 연약한 기드온에게 "큰 용사여"(12절)라고 부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에 용사란 의미입니다. 또한 "이 네 힘으로"(14절)는 기드온의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으로 행하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사사시대를 대변하는 '이스라엘에 왕이 없으므로'(21:25)라는 것은 훌륭한 왕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진정한 왕이신 하나님을 알지 못함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찾는 영웅은 오직 하나님입니다.
3. 그래서 사람들을 통해 하나님만을 바라봐야 합니다.
사람들은 영웅을 만들려 하고, 그 영웅을 통해 위안과 자신감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부족한 인간을 영웅처럼 사용하시는 것은 '그 사람' 자체가 아니라 그 사람을 사용하는 '하나님'을 보도록하기 위함입니다(참고, 히11:32, 12:1-2). 성경의 어떤 위인도 '위대한 영웅'이 될 수 없습니다. 단지 우리가 그 위인들을 존경하는 것은 하나님의 손 안에 사로잡혀 사용되었다는 것뿐입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역사의 주인공입니다.
느끼지말고 해석하라 (0) | 2017.08.27 |
---|---|
베드로의 유언 (0) | 2017.08.13 |
너희도 가려느냐 (0) | 2017.08.06 |
2017. 08. 18 금요예배
누가복음 12:49-53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 (0) | 2017.08.25 |
---|---|
실패한 부모 (0) | 2017.08.11 |
부모의 자격 (0) | 2017.08.04 |
2017. 08. 16 수요예배
요한일서 1:5-10
어둠에서 빛으로 (0) | 2017.08.23 |
---|---|
세상에 보여 줄 신앙의 모습 (0) | 2017.08.09 |
고난의 이면에서... (0) | 2017.08.02 |
2017. 08. 13 주일 오후예배
마태복음 11:28-30
무너진 다윗의 장막 (0) | 2017.08.20 |
---|---|
하나님의 숨바꼭질 (0) | 2017.08.06 |
불행(不幸)은 다행(多幸)이다 (0) | 2017.07.30 |
2017. 08. 13 주일 오전예배
베드로후서 3:14-18
베드로는 초대교회에 특별한 존재감을 가진 사람입니다. 베드로가 죽음을 눈앞에 두고(참고, 1:13-14) 성도들에게 전하는 마지막 권며는 무엇일까요? 베드로후서는 각 장마다 언급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1장은 "너희", 2장은 "그들", 3장은 "사랑하는 자들"입니다. 각각의 대상들을 살펴보면서 베드로의 마지막 유언의 내용을 생각해 봅시다.
1. "너희"(1:5,8,12절)는 누구인가?
1장 1절에서 말하고 있는 일반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들입니다(참고, 벧전1:1-2). 여전히 연약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거짓된 가르침에 쉽게 흔들리는 사람들입니다(2:1, 3). 초보적인 신앙을 가졌기에 신앙적 양육이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2. "그들"(2:1,3,15)은 누구인가?
이들은 바로 '거짓 선지자('프슈도프로페데스')와 '거진 선생'('프슈도디다스칼로스')'입니다. '프슈도'는 '거짓' '가짜'의 뜻을 가진 접두사입니다. 즉 이들은 비슷한 신앙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과는 다른 신앙을 가진 자들입니다. 이들은 일반성도들 틈 속에 들어가서 교묘하게 미혹하고 유혹하는 자들입니다. 이런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2장에 적나라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3. "사랑하는 자들"(3:1,8,14,17)은 누구인가?
이들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나지 않고 신살하게 살아가는 성도들입니다(3:1-2). 자신들의 신앙을 거짓 선생의 가르침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를 둔 사람들입니다. 베드로의 마지막 유언은 '너희들'이 거짓된 '그들'의 미혹에 넘어지지 않고 '사랑하는 자들'이 되기 위해서는 성경 말씀에 바로 서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3:18). 그러기 위해서는 성경을 미혹에 이끌려 사사로이 풀지 말고(1:20), 억지로 해석하지 말고(3:16),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이르도록 자라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착시(錯視)와 착각(錯覺) (0) | 2017.08.20 |
---|---|
너희도 가려느냐 (0) | 2017.08.06 |
경건으로 위장한 반역 (0) | 2017.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