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4로 278번길 7-15(석모리 882-2) 교회 031-996-9100 목사님 010-2500-2004 e-mail : jaekimpst@gmail.com 선교후원 : 농협 301-0068-4817-81
소망지기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253

  1. 2022.03.27 말씀과 현실 사이(4)
  2. 2022.03.25 우리가 가야 할 믿음의 길
  3. 2022.03.20 말씀과 현실 사이(3)
  4. 2022.03.18 전쟁과 재앙의 결과
  5. 2022.03.13 말씀과 현실 사이(2)
  6. 2022.03.11 전쟁과 재앙 중의 소망

말씀과 현실 사이(4)

2022. 3. 27. 12:28 | Posted by 소망지기

 

2022.03.27. 주일오전예배
본문 : 히브리서 11:21
제목 : 말씀과 현실 사이(4)

 

 

야곱은 언제부터 하나님을 믿고 순종하는 사람이 되었을까요? 성경에서 분명한 계기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만 히브리서 기자는 야곱의 믿음을 요셉의 두 아들을 축복하는 모습에서 찾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투쟁적으로 살았던 야곱은 어떤 계기를 통해 하나님의 뜻에 굴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노후에 보여주시는 믿음의 모습을 보면서 말씀과 현실을 하나로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봅시다.

1. "요셉의 각 아들에게 축복하고" = 하나님의 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애국 제사장들의 딸과 결혼한 요셉을 므낫세와 에브라임 두 아들을 두었는데, 야곱은 이방인의 피가 섞인 손자를 아들로 입양합니다. 그리고 동생인 에브라임을 형인 므낫세 보다 앞세워 축복하는 것을 보면 하나님의 마음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관습, 전통, 사람의 생각에 매이지 않고 하나님만을 바라보는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2. "그 지팡이 머리에 의지하여" = 자신을 겸손히 내려놓습니다.
자기 문제에만 집중하던 야곱은 얍복강에서 허벅지 관절이 부러지는 하나님의 사인을 경험하면서 조금씩 하나님의 말씀에 마음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지팡이를 의지했다는 표현은 야곱의 노쇠함이 아니라 허벅지 다리가 약해진 의미를 일평생 기억하고 있었다는 뜻입니다. 야곱은 자신을 내려놓기 시작하면서부터 하나님을 소유할 수 있었습니다.

3. "경배하였으며" =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어머니 태중에서 싸우던 자신에게 임했던 하나님의 말씀처럼 동생인 에브라임을 축복한 야곱은 그 기도의 응답이 당장 나타나지 않더라도 하나님의 때를 신괴하며 하나님을 경배합니다. 하나님의 시간과 방법은 인간의 시간과 방법과 다름을 알기에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탁합니다. 결국 400년 후에 이 기도의 응답이 시작되게 됩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과 현실 사이(5)  (0) 2022.04.03
말씀과 현실 사이(3)  (0) 2022.03.20
말씀과 현실 사이(2)  (0) 2022.03.13

우리가 가야 할 믿음의 길

2022. 3. 25. 22:07 | Posted by 소망지기

 

2022. 03. 25. 금요예배

본문: 계 22:8-11

제목: 우리가 가야할 믿음의 길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활에 참여하는 신앙  (0) 2022.04.08
전쟁과 재앙의 결과  (0) 2022.03.18
전쟁과 재앙 중의 소망  (0) 2022.03.11

말씀과 현실 사이(3)

2022. 3. 20. 12:33 | Posted by 소망지기

 

2022.03.20. 주일오전예배
본문 : 창세기 28:13-15
제목 : 말씀과 현실 사이(3)

 

 

하나님의 말씀을 자신의 원함으로 변질시키는 야곱은 어쩌면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자체에는 관심없고 오직 자기 삶의 상황만이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은 우리가 행하는 신앙생활의 일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상황에 대하여 우리 자신보다 더 잘 알고 계시는 분입니다. 그러기에 우리의 판단과 상관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한다는 것은 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아야 합니다.

1. 하나님의 말씀이 복음임을 알아야 합니다.
"큰 자가 어린 자를 섬기리라"라는 말은 언뜻 보면 야곱에 대한 하나님의 편애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에서나 야곱에게 가장 유익된 말씀입니다. 에서도 동생인 야곱을 섬길 때 가장 의미있는 인생이 된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순종하는 것은 당장의 유/불리를 따질 것이 아니라 궁극적인 말씀의 성취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2.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아야 합니다.
야곱의 반응을 보면 하나님의 말씀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야곱의 삶 속에 계속해서 나타나 간섭하십니다. 그 이유는 이곱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 때문입니다. 그러나 야곱은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여전히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하나님이 사랑을 경험하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수 있습니다.

3. 말씀으로 살지 못하면 합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야곱은 여전히 자신의 목적을 위한 삶을 산 결과 그가 그토록 원했던 장자의 명분에 맞는 삶을 살지 못합니다. 오히려 계속된 고난과 어려움으로 결국은 애굽으로 이주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장자의 명분이 야곱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 인생을 인도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과 현실 사이(4)  (0) 2022.03.27
말씀과 현실 사이(2)  (0) 2022.03.13
말씀과 현실 사이(1)  (0) 2022.03.06

전쟁과 재앙의 결과

2022. 3. 18. 22:10 | Posted by 소망지기

 

2022. 03. 18. 금요예배

본문: 신 6:20-25

제목: 전쟁과 재앙의 결과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가야 할 믿음의 길  (0) 2022.03.25
전쟁과 재앙 중의 소망  (0) 2022.03.11
전쟁과 재앙의 의미  (0) 2022.03.04

말씀과 현실 사이(2)

2022. 3. 13. 12:30 | Posted by 소망지기

 

2022.03.13 주일오전예배
본문 : 창세기 25:31-34
제목 : 말씀과 현실 사이(2)

 

 

야곱이 보여 주는 삶의 모습은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비난의 여지가 많기에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그러나 이런 야곱의 모습이 곧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에 공감할 것입니다. 왜. 야곱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를 입었음에도 여전히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 은혜롭지 못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혹여 우리는 이런 모습을 보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이루기 위한 야곱의 열심이라고 미화시키지는 않나요? 야곱의 문제는 어디에 있을까요?

1. 하나님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안다고 할 때 '하나님을' 아는 것과 '하나님에 관하여' 아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야곱은 장자의 명분이 있어야 장자의 복을 주는 하나님으로 알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세상의 논리나 관습에 따라 일하는 분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으므로 하나님의 말씀과 상관없는 삶을 살게 되는 것입니다.

2. 말씀의 의미를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야곱은 하나님의 말씀을 자신의 안전과 보호의 차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면한 현실 문제보다는 기니 안목으로 가나안 땅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민족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만을 믿고 의지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야곱은 자신의 문제해결에만 급급해하고 있습니다.

3. 자기 자신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야곱은 태어날 때부터 자신이 원하는 것에 집착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장자권, 결혼, 재산 축적, 그리고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에 대한 반응을 보면 한결같이 자기중심적인 모습입니다. 이런 성향을 가지고 있으면 말씀도 자동으로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기의 마음과 생각을 바꾸어야 합니다. 이것이 회개입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과 현실 사이(3)  (0) 2022.03.20
말씀과 현실 사이(1)  (0) 2022.03.06
말씀이 열리지 않을 때  (0) 2022.02.27

전쟁과 재앙 중의 소망

2022. 3. 11. 22:14 | Posted by 소망지기

 

2022. 03. 11. 금요예배

본문: 계 17:1-5

제목: 전쟁과 재앙 중의 소망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과 재앙의 결과  (0) 2022.03.18
전쟁과 재앙의 의미  (0) 2022.03.04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  (0) 202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