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4로 278번길 7-15(석모리 882-2) 교회 031-996-9100 목사님 010-2500-2004 e-mail : jaekimpst@gmail.com 선교후원 : 농협 301-0068-4817-81
소망지기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215

  1. 2023.06.18 제자, 사도, 장로(2)
  2. 2023.06.16 이렇게 기도합시다(11)
  3. 2023.06.11 이런 장로가 됩시다.
  4. 2023.06.09 이렇게 기도합시다(10)
  5. 2023.06.04 사도적이십니까?
  6. 2023.06.02 이렇게 기도합시다(9)

제자, 사도, 장로(2)

2023. 6. 18. 12:22 | Posted by 소망지기

 

2023.06.18. 주일오전예배
본문 : 마태복음 27:55-56
제목 : 제자, 사도, 장로(2)

 

 

지금까지 수 주에 걸쳐 베드로의 신앙을 중심으로 성숙해지는 믿음의 모습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제자, 사도, 장로와 같은 신앙 성숙은 특별한 믿음의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성경은 예수님을 사랑하고 신실한 믿음으로 살아내려는 사람은 누구나 가능함을 말해 줍니다. 오늘의 성경에 등장하는 한 무리의 여인들처럼 그럴듯한 직분은 없지만 아름다운 믿음의 삶을 보면서 헌신과 도전의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1. 제자 : 묵묵히 예수님을 따르고 섬깁니다.
예수님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보잘것없었습니다. 제자들과 여자들은 예수님을 따르고 섬기며 예루살렘까지 왔지만 결국 십자가 앞에는 여자들만 있습니다. 이것은 상황이나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믿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자의 삶이란 이 여자들처럼 자신의 목적이나 환경을 따라 살지 않고 오직 예수님만을 믿고 따르는 신실한 사람입니다.

2. 사도 : 순종하여 가서 말씀을 전달합니다(참고, 마28:10).
예수님 당시의 유대 문화에서 여성의 활동이나 증언은 신뢰받지 못했습니다. 이런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음에도 예쑤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제자들에게 가서 들은 말씀을 그대로 전달하게 됩니다. 사도란 결과를 보장할만한 능력을 소유한 사람이 아니라, 그저 듣고 배운 말씀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순종의 믿음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3. 장로 : 이름도 없이 교회를 섬깁니다.
여인들은 예수님의 죽음과 장례와 부활을 목격한 특별한 경험을 가진 자들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새롭게 시작된 교회 사역에서 주목할 역할을 감당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신약 성경에는 이들의 활동이 극히 드뭅니다. 그 이유는 이름 없이 묵묵히 교회와 성도를 섬기는 일을 감당했습니다. 장로는 직분의 의미가 아니라 삶의 의미인 이유입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은혜의 원인  (0) 2023.06.25
이런 장로가 됩시다.  (0) 2023.06.11
사도적이십니까?  (0) 2023.06.04

이렇게 기도합시다(11)

2023. 6. 16. 22:18 | Posted by 소망지기

 

2023. 06. 16. 금요예배

본문: 대하 6:24-25

제목: 이렇게 기도합시다(11)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기도합시다(12)  (0) 2023.06.23
이렇게 기도합시다(10)  (0) 2023.06.09
이렇게 기도합시다(9)  (0) 2023.06.02

이런 장로가 됩시다.

2023. 6. 11. 12:31 | Posted by 소망지기

 

2023.06.11. 주일오전예배
본문 : 디도서 1:5-9
제목 : 이런 장로가 됩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장로'란 장로교회의 조직적 당회의 회원으로서 다스리고 치리하는 직분입니다. 이런 개념은 성경적이기보다는 교리적이고 역사적인 산물입니다. 성경적인 의미에서의 '장로'는 한 교회에서 성도들을 가르치며 양육하는 오늘날의 목회자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장로의 자격은 세상적인 능력이나 실력과는 다른 차원의 자질을 요구받습니다. 성경이 말하는 장로의 자격을 살펴봅시다.

1. 신앙 인격.
오늘 본문과 함께 디모데전서 3:1-7에서도 장로(감독)의 자격에 관한 내용이 언급됩니다. 그런데 후보자의 능력이나 실력에 관한 것보다는 신앙으로 말미암는 삶의 모습, 즉 신앙 인격적인 면을 말하고 있습니다. 타고난 성품도 중요하지만 믿음으로 말미암아 변화된 삶의 모습이 더 중요하고 의미가 더 큼을 의미합니다.

2. 신앙 관계.
장로는 자기의 신앙 성장에 주력하기보다는 다른 성도를 양육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기에 사람과의 관계성이 중요합니다. 이런 관계성을 가정(6절: '한 아내의 남편'), 교회(7절: '청지기'), 사회(8절: '나그네를 대접')에서 확인하도록 합니다. 단순히 교회 안에서 보여지는 모습만이 아니라 삶의 전 영역에서 좋은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3. 신앙 진리.
9절에서 장로는 본인이 먼저 바른 말씀을 잘 배워야 하고, 배운 말씀을 잘 지켜 행함으로 다른 사람들을 권면하고 책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장로는 권위적인 직분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열심히 배우고 실천하는데 솔선수범하는 직분입니다. 그래서 성도를 양육하는 장로는 입이 아닌 자신의 삶으로 가르치는 사람입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자, 사도, 장로(2)  (0) 2023.06.18
사도적이십니까?  (0) 2023.06.04
제자입니까?  (0) 2023.05.28

이렇게 기도합시다(10)

2023. 6. 9. 22:20 | Posted by 소망지기

 

2023. 06. 09. 금요예배

본문: 대하 6:18-23

제목: 이렇게 기도합시다(10)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기도합시다(11)  (0) 2023.06.16
이렇게 기도합시다(9)  (0) 2023.06.02
이렇게 기도합시다(8)  (0) 2023.05.26

사도적이십니까?

2023. 6. 4. 12:17 | Posted by 소망지기

 

2023.06.04. 주일오전예배
본문 : 빌립보서 2:5-8
제목 : 사도적이십니까?

 

 

사도란 특정한 목적과 일을 이루기 위해 '보냄 받은 자'란 뜻입니다. 제자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이 사도적 삶의 모델로 본받은 사람은 예수님입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은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보냄을 받아 오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직접 보여주신 사도적 삶을 본받아 각자의 삶의 현장에서 살아내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가장 의미있고 가치있는 신앙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여기지 아니하고'(6절).
예수님이 영광의 보좌에 머물지 않고 이 땅으로 오셨듯이, 사도는 자신이 누리고 있는 현재의 익숙한 삶에 안주하지 않고 오히려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 속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비록 제 생각이나 성향과 다르다고 외면하기보다는 다름을 수용하고 그 차이를 인정함으로써 하나님의 뜻에 순종해야 합니다.

2. '같이 되셨고'(7절).
하나님의 본채이신 예수님은 하늘의 영광스러운 모습 그대로 이 땅에 오신 것이 아니라, 연약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과 성향과 '같은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렸던 익숙한 것을 비우고 내려놓아야 합니다. 보냄을 받은 사도는 '돼라'고 가르치기 전에 먼저 '되어 주는' 헌신이 요구됩니다.

3. '복종하셨으니'(8절).
제자의 삶과 사도의 삶을 나누는 가장 분명한 기준은 '순종'에 있습니다. 제자는 여전히 자기 생각이나 방법을 고집하는 면이 있지만, 사도는 철저하게 하나님께 순종하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사도행전을 '성령행전'이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결국, 사도적 삶이란 자기 감정이나 판단으로 행동하기보다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려는 수고와 노력입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장로가 됩시다.  (0) 2023.06.11
제자입니까?  (0) 2023.05.28
제자, 사도, 장로  (0) 2023.05.21

이렇게 기도합시다(9)

2023. 6. 2. 22:24 | Posted by 소망지기

 

2023. 06. 02. 금요예배

본문: 대하 6:12-17

제목: 이렇게 기도합시다(9)

'금요철야 말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기도합시다(10)  (0) 2023.06.09
이렇게 기도합시다(8)  (0) 2023.05.26
이렇게 기도합시다(7)  (0) 202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