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5. 주일오전예배
본문 : 요한복음 1:1-5
제목 : 태초에...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리로 살아난 자들 (0) | 2022.06.12 |
---|---|
태초에... (0) | 2022.05.29 |
좋은 교회, 좋은 성도 (0) | 2022.05.22 |
진리로 살아난 자들 (0) | 2022.06.12 |
---|---|
태초에... (0) | 2022.05.29 |
좋은 교회, 좋은 성도 (0) | 2022.05.22 |
태초에... (0) | 2022.06.05 |
---|---|
좋은 교회, 좋은 성도 (0) | 2022.05.22 |
예수님의 마음 (0) | 2022.05.15 |
데살로니가 교회는 바울에게 아주 특별한 교회입니다. 사도행전 17장을 보면 데살로니가에서 세 안식일 동안 전도하고 유대인들의 핍박으로 간신히 도망 나온 곳입니다. 그런데도 신앙의 성장을 이루어 주변 모범이 되는 교회가 되었습니다(살전1:6-8, 2:19, 3:9). 여러 핍박 속에서도(살전2:14) 성장과 성숙을 이루는 힘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요? 14주년을 맞이하면서 예수애교회와 온 성도가 함께 도전받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1. "우리에게서 배웠으니" = 교육.
하나님의 말씀은 듣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 말씀을 깨닫도록 배워야 합니다. 배움의 목적은 성경에 대한 지적 충족이 아니라 하나님을 알고 깨닫고 동행하기 위함입니다. 타종교와는 달리 하나님에 대해 배워야 하는 이유는 우리가 믿고 섬기는 하나님은 우리와 항상 동행하는 분이기에 그분에 대하여 바르게 알아야 바르게 믿고 섬길 수 있습니다.
2. "행하는 바라 더욱 많이 힘쓰라" = 훈련.
은혜는 일회성으로 주어지는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이런 은혜는 너무 귀한 것이지만 은혜만 있다고 믿음이 자라는 것은 아닙니다. 받은 은혜를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 '훈련'입니다. 훈련을 통해 내 삶의 일부로 만들어야 비로소 나의 믿음이요 나의 능력이 됩니다, 듣고 알게 되었다면 그 은혜로 살아갈 수 있도록 부단히 훈련해야 합니다.
3. "명령을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 사명.
훈련이 끝나면 명령이 떨어집니다. 단순히 봉사의 생활을 넘어 하나님의 명령으로 사는 삶이 사명입니다. 사명은 은사로 사는 것이 아니라 명령으로 사는 것이기에 환경이나 상황에 상관없이 꾸준히 그 자리를 지키면서 주어진 일을 감당해 내는 것입니다, 사명은 특정한 사역만이 아니라, 가정이나 직장 등 모든 삶의 현장에서 적용돼야 합니다.
태초에... (0) | 2022.05.29 |
---|---|
예수님의 마음 (0) | 2022.05.15 |
날이 어두워지면... (0) | 2022.05.08 |
2022. 05. 20. 금요예배
본문: 창 15:12-17
제목: 언약의 하나님(4)
언약의 하나님(5) (0) | 2022.06.17 |
---|---|
언약의 하나님(3) (0) | 2022.05.13 |
언약의 하나님(2) (0) | 2022.05.06 |
예수님이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신 것은(11:12-14) 열매 없는 이스라엘 백성들에 대한 심판의 예고이며, 성전에서 보여 준 예수님의 분노(11:15-17)는 별질된 성전신앙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암시합니다(참고, 13:2). 그렇다면 예수님이 성전까지 없애버리면서 새롭게 시작하는 신앙은 어떤 모습일까요? 죽어버린 무화과나무를 보면서 하신 오늘의 본문 말씀은 새로운 신앙에 대한 예수님의 간절한 바람이요 기대입니다(참고, 눅 17:1-10).
1. 믿음 : "네가 필요해"(22-23절).
"하나님을 믿으라"는 말은 우리의 관점이 아닌 당시 성전에서 제사장들을 통하여 제사드리는 것이 곧 신앙이로 여겼던 유대인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여기서 "믿음"은 하나님과 사이에 제물이나 제사장이 중간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이 원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2. 기도 : "네가 해야 하라 일을 해"(24절).
갑자기 등장하는 기도에 관한 내용은 기도의 능력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만민이 기도하는 집"인 성전의 본질적인 기능의 회복(참고, 17절)을 의미합니다. 즉, 기도란 포괄적인 의미로서 하나님을 섬기고 교제하는 모든 행위를 말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행하면 그것이 하나님께는 영광이요 우리에게는 은혜입니다.
3. 용서 : "네가 먼저 보여줘"(25절).
'용서(죄사함)'는 하나님을 믿는 가장 큰 동기입니다. 그래서 절기마다 제물을 가지고 성전으로 향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새롭게 세워질 신앙 공동체는 '성전'과 '제사장'이 '삶의 현장'과 자기실천'으로 대체됨을 말씀합니다. 그동안의 의존적이고 피동적인 예식체계에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행동체계로 바꾸면서 구체적인 실천을 요구합니다.
좋은 교회, 좋은 성도 (0) | 2022.05.22 |
---|---|
날이 어두워지면... (0) | 2022.05.08 |
왜, 믿음이 자라지 않을까? (0) | 2022.05.01 |
2022. 05. 13. 금요예배
본문: 창 9:11-16
제목: 언약의 하나님(3)
언약의 하나님(4) (0) | 2022.05.20 |
---|---|
언약의 하나님(2) (0) | 2022.05.06 |
언약의 하나님(1)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