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4로 278번길 7-15(석모리 882-2) 교회 031-996-9100 목사님 010-2500-2004 e-mail : jaekimpst@gmail.com 선교후원 : 농협 301-0068-4817-81
소망지기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누가 왕인가?

2022. 7. 24. 12:25 | Posted by 소망지기

 

2022.07.24. 주일오전예배
본문 : 사사기 21:25
제목 : 누가 왕인가?

 

 

오늘 본문은 사사기의 주제이자 결론입니다. '이스라엘의 왕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다'라는 대답은 정치적인 군주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왕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왕정시대가 되었다고 해서 더 나은 신앙과 삶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사 시대의 암울하고 비참한 상황은 진정한 왕이 누구인지 망각한 어리석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1. 하나님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에 왕이 없음으로"라는 말이 네 번 반복됩니다(17:6, 18:1, 19:1, 21:25). 성경 저자는 이스라엘의 당면 문제의 원인을 '왕이 없음'에서 찾고있습니다. 이것은 힘 있는 군주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다윗은 왕이었음에도 하나님을 왕으로 섬겼기에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2.  각자 왕이 되었습니다.
17장부터 21장까지는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라는 말로 시작과 끝이 둘러싸인 액자형식을 취합니다(참고, 17:6, 21:25).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은 단순히 윤리 도덕의 문제가 아니라 각자 스스로 왕이 되어 생각하고 판단하고 결정하는 세태를 고발합니다. 말로는 하나님이 왕이라고 하지만 정작 삶속에서는 자신이 왕으로 사는 삶의 실장을 보여줍니다.

3. 세상의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왕은 기준을 정하는 존재입니다. 하나님이 왕이 되면 그 말씀이 기준이지만, 사람마다 왕이 되면 각자의 판단과 생각이 기준이 됩니다. 옳고 그름의 기준도 각자의 생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쟁과 다툼이 일어납니다. 하나님은 사사기를 통해 사람이 기준 되는 사회의 적나라한 실장을 보여 주면서 어떤 삶의 방식을 택할 것인지 선택을 요구합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는 자의 치명적 실수  (0) 2022.07.31
비참한 회복  (0) 2022.07.17
은혜 뒤에 다가온 어둠  (0) 2022.07.10

 

2022. 07. 21. 21일 기도회 21일째

본문: 삿 20:1-7

제목: 하나님이 없는 결과

21일 기도회 20일째 : 정글의 법칙

2022. 7. 20. 22:16 | Posted by 소망지기

 

2022. 07. 20. 21일 기도회 20일째

본문: 삿 18:21-26

제목: 정글의 법칙

 

2022. 07. 19. 21일 기도회 19일째

본문: 삿 18:7-10

제목: 세상을 보는 안목

 

2022. 07. 18. 21일 기도회 18일째

본문: 삿 17:7-13

제목: 물질이 삶을 지배하다

비참한 회복

2022. 7. 17. 12:23 | Posted by 소망지기

 

2022.07.17. 주일오전예배
본문 : 사사기 16:19-22
제목 : 비참한 회복

 

 

삼손은 나실인으로 구별된 사사입니다. 특별한 하나님의 은혜를 덧입고 태어났음에도 하나님의 말씀과 상관없이 살다가 비참한 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삼손을 그냥 두지 않고 회복시키는데 그 방법이 역설적입니다. 삼손은 무시했던 하나님의 말씀을 하나님은 그 말씀대로 삼손을 회복시키십니다. 말씀이 무시당하는 시대에 말씀을 바르게 세우려고 하는 하나님의 의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1. 머리털이 밀리다.
민수기 6장을 보면 나실인이 머리컬을 미는 경우는 두가지 입니다. 부정해졌을 때와 나실인의 기한이 다 찼을 때입니다. 들릴라에 의해 멀리가 깍인 삼손은 나실인 기한을 끝내고 대시 정결케 하여 나실인으로 세우려는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비록 말씀대로 살지 못해 머리털리 밀렸지만, 하나님은 말씀대로 다시 회복시키려고 일하고 계십니다.

2. 두 눈이 뽑히다.
사사시대의 특징은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는 시대입니다. 삼손도 사사임에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만 보며 살았습니다(참고, 14:2, 16:2, 4). 육적인 눈에 보기 좋은 것만 쫒다가 정작 영적인 눈을 뜨지 못한 지도자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육의 눈을 뽑아냄으로써 하나님의 눈으로 세상과 자신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옥에서 맷돌을 돌리다.
하나님이 주신 능력으로 항상 좋고 높은 곳만 누리던 삼손을 가장 낮고 비참한 환경으로 끌어내린 것은 말씀에 따라 자신의 신분과 사명을 깨닫게 하는 하나님의 의도입니다. 나실인의 정결 예식처럼 자신을 제물로 드릴 때에 비로소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비록 비참한 처지였지만 하나님의 은혜가 회복되었습니다.

 

'주일예배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왕인가?  (0) 2022.07.24
은혜 뒤에 다가온 어둠  (0) 2022.07.10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  (0) 2022.07.03